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null safety
- 컴파일
- error
- fabric-sdk-java
- Exception
- test
- web3js
- bigquery
- porterduff
- hardwareacceleration
- 안드로이드
- Hyperledger
- 다윈
- dataginding
- Android
- Realm
- firebase
- log
- LAYER_TYPE_SOFTWARE
- Glide
- kotlin
- quick-start
- 스트리밍
- convert
- Gradle
- ethereum
- coroutines
- C
- fabic
- vuepress
- Today
- Total
날마다 새롭게 또 날마다 새롭게
Android lifecycle-aware components ViewModel과 LiveData 사용해보기 본문
ViewModel과 LiveData를 사용해보자
ViewModel
ViewModel 은 UI 관련된 data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하는 클래스이다.
보통 Activity나 Fragment가 다시 recreate 되는 상황에(screen rotation 같은) 갖고 있던 data들은 clear가 된다. 이러한 상황에서 data를 잃지 않고 view를 구성하기 위해서 onSaveInstanceState 나 create 될 때, data를 로드하는 구현이 필요하다.
ViewModel을 사용하면 이런 구현이 필요 없어진다. ViewModel은 Activity/fragment lifecycle을 따라 동작하는데 생성된 시점에서 Activity/fragment가 finish() 되기 전까지 데이터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.
ViewModel 사용 방법을 알아보자
사용방법
download
viewmodel 을 사용하기 위해서 dependencies 를 추가한다.
project/build.gradle
allprojects {
repositories {
jcenter()
maven { url 'https://maven.google.com' }
}
}
app/build.gradle
compile "android.arch.lifecycle:runtime:1.0.0-alpha1"
compile "android.arch.lifecycle:extensions:1.0.0-alpha1"
annotationProcessor "android.arch.lifecycle:compiler:1.0.0-alpha1"
create
‘ViewModelProviders’를 사용해서 ViewModel 객체를 생성한다.
// this = Fragment / Activity
MyViewModel myviewmodel = ViewModelProviders.of(this).get(ChronometerViewModel.class)
예제1
예제를 통해 자세한 사용방법을 알아보자. 전체 소스는 codelab을 참고하면 된다.
step2/ChronoActivity2
Activity가 onCreate될 때, ‘ChronometerViewModel’을 생성하고 startdate를 가져와 Chronometer에 셋팅한다
@Override
protected void onCreate(Bundle savedInstanceState) {
super.onCreate(savedInstanceState);
setContentView(R.layout.activity_main);
// The ViewModelStore provides a new ViewModel or one previously created.
ChronometerViewModel chronometerViewModel
= ViewModelProviders.of(this).get(ChronometerViewModel.class);
// Get the chronometer reference
Chronometer chronometer = (Chronometer) findViewById(R.id.chronometer);
if (chronometerViewModel.getStartDate() == null) {
// If the start date is not defined, it's a new ViewModel so set it.
long startTime = SystemClock.elapsedRealtime();
chronometerViewModel.setStartDate(startTime);
chronometer.setBase(startTime);
} else {
// Otherwise the ViewModel has been retained, set the chronometer's base to the original
// starting time.
chronometer.setBase(chronometerViewModel.getStartDate());
}
chronometer.start();
}
step2/ChronometerViewModel
startDate getter/setter, view에서 호출한다.
public class ChronometerViewModel extends ViewModel {
@Nullable
private Long startDate;
@Nullable
public Long getStartDate() {
return startDate;
}
public void setStartDate(final long startDate) {
this.startDate = startDate;
}
}
앱을 실행한 후, 스마트폰을 좌우로 회전시켜보면 view는 새로 create되지만 Chronometer는 초기 값을 잃어버리지 않고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홈버튼으로 나갔다 다시 앱으로 돌아와도 값은 유지된다. 백버튼으로 나갔다 앱을 실행하면 값이 초기화 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이렇게 ViewModel은 Activity/Fragment 가 finish 되서 destroy 되기 전까지는 값을 유지한다.
예제2
LiveData를 사용법을 알아보기 전에 ‘Step3’ 을 조금 수정해서 ViewModel 만 사용한 예제를 살펴보자.
참고로 이 코드는 codelab 프로젝트에 없다.
step3/ChronoActivity3rev
ViewModle을 생성하고 ViewModel 로부터 Update 이벤트를 받아 view를 갱신한다.
@Override
protected void onCreate(Bundle savedInstanceState) {
super.onCreate(savedInstanceState);
setContentView(R.layout.chrono_activity_3);
viewModel = ViewModelProviders.of(this).get(ChronometerViewModelrev.class);
viewModel.setMyListener(new ChronometerViewModelrev.MyListener() {
@Override
public void onUpdate(long aLong) {
String newText = ChronoActivity3rev.this.getResources().getString(
R.string.seconds, aLong);
((TextView) findViewById(R.id.timer_textview)).setText(newText);
}
});
}
step3/ChronometerViewModelrev
‘Timer’를 사용해서 1초마다 이벤트를 Activity로 전달한다.
public ChronometerViewModelrev() {
mInitialTime = SystemClock.elapsedRealtime();
// Update the elapsed time every second.
timer.scheduleAtFixedRate(new TimerTask() {
@Override
public void run() {
final long newValue = (SystemClock.elapsedRealtime() - mInitialTime) / 1000;
// setValue() cannot be called from a background thread so post to main thread.
new Handler(Looper.getMainLooper()).post(new Runnable() {
@Override
public void run() {
if(myListener != null) myListener.onUpdate(newValue);
}
});
}
}, ONE_SECOND, ONE_SECOND);
}
앱을 실행해보면 예제1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을 좌우로 회전하거나 홈화면으로 나갔다 돌아와도 값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그런데 Activity의 onUpdate 리스너에 로그를 남겨보면 홈화면에 나가있는 상태에서도 이벤트를 받아 view를 갱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view가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는 데이터는 유지되더라도 view를 갱신할 필요는 없다. 이런 아쉬움은 LiveData를 사용하면 없어진다.
LiveData
LiveData 는 acitivity/fragment lifecyle에 따라 동작하며 STARTED/RESUMED state일 때만 데이터 변화 이벤트를 observer 에게 전달한다.
사용방법
download
ViewModel과 설정이 동일하다
observe
LiveData는 observe 호출을 통해서 데이터 갱신 이벤트를 받을 수 있다.
LiveData.get(getActivity()).observe(this, location -> {
// update UI
});
예제3
LiveData를 사용한 예제를 살펴보자.
step3/ChronoActivity3
‘LiveDataTimerViewModel’에서 LiveData를 호출해 observe 하는 것을 볼 수 있다. elapsedTime 에 값이 변화가 생기면 onChanged가 호출된다.
@Override
protected void onCreate(Bundle savedInstanceState) {
super.onCreate(savedInstanceState);
setContentView(R.layout.chrono_activity_3);
mLiveDataTimerViewModel = ViewModelProviders.of(this).get(LiveDataTimerViewModel.class);
subscribe();
}
private void subscribe() {
final Observer<Long> elapsedTimeObserver = new Observer<Long>() {
@Override
public void onChanged(@Nullable final Long aLong) {
String newText = ChronoActivity3.this.getResources().getString(
R.string.seconds, aLong);
((TextView) findViewById(R.id.timer_textview)).setText(newText);
Log.d("ChronoActivity3", "Updating timer");
}
};
mLiveDataTimerViewModel.getElapsedTime().observe(this, elapsedTimeObserver);
}
step3/LiveDataTimerViewModel
Timer를 사용해 1초마다 LiveData인 mElapsedTime 에 값을 변경한다.
public LiveDataTimerViewModel() {
mInitialTime = SystemClock.elapsedRealtime();
// Update the elapsed time every second.
timer.scheduleAtFixedRate(new TimerTask() {
@Override
public void run() {
final long newValue = (SystemClock.elapsedRealtime() - mInitialTime) / 1000;
// setValue() cannot be called from a background thread so post to main thread.
new Handler(Looper.getMainLooper()).post(new Runnable() {
@Override
public void run() {
mElapsedTime.setValue(newValue);
}
});
}
}, ONE_SECOND, ONE_SECOND);
}
앱을 실행해보면 예제2와 마찬가지로 스마트폰을 좌우로 회전하거나 홈화면으로 나갔다 돌아와도 값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그런데 예제2와는 다르게 홈화면에 나가있는 상태에서는 Activity의 onChanged 리스너의 로그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LiveData는 lifecycle이 STARTED/RESUMED state일 때만 dispatch하기 때문에 onChanged는 호출되지 않는다.
결론
Lifecycle-aware components인 LiveData, ViewModel을 사용하면 그 동안 Data-view 연결하는 작업을 할 때, exception이 발생하지 않도록 lifecycle을 신경써서 구현해야 했던 작업들을 줄일 수 있고 앱의 성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