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kotlin
- 스탠바이미2사용후기
- 스탠바이미2리뷰
- 가벼운갤럭시
- 스탠바이미2실사용
- test
- Exception
- 갤럭시s25장점
- 안드로이드
- 스탠바이미2세대
- 45w 고속 충전
- 스탠바이미2단점
- C
- log
- Android
- 스탠바이미2장점
- ethereum
- Realm
- 다윈
- 갤럭시s25단점
- 스탠바이미2출시
- convert
- firebase
- Gradle
- 스트리밍
- 스탠바이미2후기
- error
- Glide
- 컴파일
- 스탠바이미2총평
- Today
- Total
날마다 새롭게 또 날마다 새롭게
다윈 스트리밍 서버 Relay 설정하기 본문
Source(VLC-PC1) → Server(Darwin Server) → Destination(VLC-PC2)
1. PC1의 Live 영상을 RTP/MPEG Transport Stream으로 전송한다.
VLC Player - 메뉴 - 미디어 - 스트림 - 갈무리장치 - 스트림 실행
대상 - RTP/MPEG Transport Stream - 추가 - 주소에 Server IP 입력(ex:192.168.0.4) - 다음 - 문자열 변경 - 스트림
생성된 출력 문자열 :
:sout=#transcode{vcodec=h264,vb=0,scale=0,acodec=mp4a,ab=128,channels=2,samplerate=44100}:rtp{dst=192.168.0.4,port=5004,mux=ts} :no-sout-rtp-sap :no-sout-standard-sap :ttl=1 :sout-keep
mux=ts를 sdp=rtsp://PC1의 IP주소/test.sdp 로 변경한다.
2. Darwin Server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여 Relay setting한다..
Source Settings
Source Hostname or IP Address : PC1의 IP주소(ex:192.168.0.7)
Mount Point : 스트림 실행 시 적었던 파일 이름 (ex: /test.sdp)
Request incoming stream : blank
Destination Settings (1 of 1)
Hostname or IP Address:127.0.0.1
Announced UDP : Mount Point : Server에서 접근할 이름 (ex: /relay.sdp)
: 나머지 : blank
3. PC2에서 VLC를 실행하여 네트워크 스트림 열기를 실행한다.
URL : rtsp://server IP 주소/설정한 파일 이름 (ex: rtsp://192.168.0.4/relay.sdp)